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b, 연준)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움직임과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한 기준금리 인상 여부와 관련된 경제 뉴스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10월 초 기준으로는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인해 주식 시장이 한 번 출렁이자, 연준 고위인사들이 “금리인상은 시기상조”라며 시장을 안정시키고 위축된 투자심리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기사도 보인다.
그리고 미국의 테이퍼링이나 기준금리 인상 관련된 뉴스가 나올 때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출렁이며 변동성이 커지는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기준금리를 건드리는 것은 미국인데, 왜 멀리 있는 한국의 주식 시장에까지 영향이 미치는 것일까?
사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고, 아시아 신흥국 증시가 유사하게 겪는 문제이기도 하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0~0.25%이고, 한국의 기준금리는 지난 8월 말 0.25% 인상해 0.75%로, 약 0.5%의 갭을 가지고 있다. 기준금리는 채권의 금리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기준금리를 기준으로 본다면 한국과 미국의 국채 금리도 약 0.5% 정도의 갭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상황에서 한국 국채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우, 한국 국채가 미국 국채보다 수익률이 0.5%p 더 높으니,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한국 국채를 매입하고 있다 볼 수 있다.
그런데 미국의 기준금리가 0.25~0.5%p 인상될 경우, 한국의 기준금리와 갭이 줄어들거나 같아지게 된다. 두 국가의 국채 간 수익률에 큰 차이가 없다면 투자자들은 어느 나라의 국채를 선택할까? 동일한 수익률이라면 당연히 더 안전한 미국 채권을 사게 될 것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투자자들은 안전성이 떨어지는 신흥국의 국채를 매도하고 미국의 국채를 매입하게 되므로, 미국 달러 강세, 신흥국 화폐 약세가 초래되며,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급등하게 된다. 또한 외국인 자본은 이때 국채 뿐 아니라 주식도 함께 처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우리나라 주식 시장도 하락세를 보이게 된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원화 자산은 그 가치가 떨어지게 되므로 굳이 보유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나 다른 신흥국은 그렇다면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국채 금리를 높임으로써, 외국인 자본의 이탈을 막아야 할까?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은 경기가 회복되거나 상승세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 경기가 안 좋을 때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가 더 침체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니다.
결국 우리나라 주식이나 채권에만 투자를 하는 투자자라 하더라도, 결국 우리나라 주식/채권의 가격은 미국의 금리 정책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미국의 금리 정책이 한국에 살고 있는 우리의 자산에도 나비효과처럼 영향을 미치므로, 미국 경제 관련 뉴스에도 늘 귀를 열어두고 있어야 겠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투자 개념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흐름에 따른 장기채 단기채 금리 변화: 국채 장단기 금리차 (0) | 2021.10.15 |
---|---|
채권 기본개념: 채권 금리 & 채권 가격 (0) | 2021.10.14 |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란? + 투자 유의사항 (0) | 2021.10.12 |
‘주식투자’과 ‘채권투자’의 차이 (0) | 2021.10.11 |
뜨는 라이브커머스에서 투자 아이디어 찾기 (0) | 2021.10.10 |